논문투고규정




제 1조 ( ■ 원고작성 및 투고 요령

1. 논문은 한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외국어로 쓸 경우 영어로 쓰도록 하며, 모든 논문은 미국 현대어문협회(MLA)에서 발간한 연구논문 필자를 위한 핸드북(MLA Handbook for Writers of Research Papers)에 제시된 규정을 따른다.

2. 본문에 한자와 영문을 쓰지 않으며, 꼭 필요한 경우 괄호로 처리한다. 단 제목은 한글만을 사용한다.

3. 작품명은 우리말로 번역하되, 처음 나올 때 괄호 속에 영문 표기를 제시한다. 인용문은 번역하되, 원문을 번역문 바로 아래에 제시한다. 

(인명이나 지명 등의 고유명사는 해당 원어권 발음에 준하여 한글로 표기하되, 결정이 어려울 때는 교육부 제정 외국어 발음 규정에 따른다.)

4. 그 외 언급되지 않은 규정은 최신 MLA 지침서를 따르되, 국내 서적이나 논문을 인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한다.

1) 인용 문헌은 Works Cited로 처리한다. 그 경우: 필자(또는 저자). 『 논문 제목』 . 『 책 이름』 . 편자(역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쪽.

2) 각주 처리하는 경우(가급적 피함): ①필자(또는 저자), 『 논문 제목』 , 『책 이름』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쪽. ②필자(또는 저자), 『논문 제목』, 『책 이름』, 편역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쪽.

5. 인용 문헌은 본문에서 인용했거나 언급한 문헌만 기록한다. 한글로 작성된 국내 문헌은 모두 국문과 영문으로 병기하여 알파벳순으로 열거하고, 국내문헌의 경우 영문 표기 위에 국문으로 문헌정보를 한 번 더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단 서지 항목의 길이가 한 줄 이상일 경우에는 두 번째 줄부터 5칸 들여쓰기를 한다. 

예: 안중은. 『 제1회 T. S. 엘리엇 국제 여름학교 참가기』 . 『 T. S. 엘리엇 연구』 19.2 (2009): 249-75.

[Ahn, Joongeun. “T. S. Eliot’s International Summer School 2009.” Journal of T. S. Eliot Society of Korea 19.2 (2009): 249-75. Print.]

6. 원고는 아래한글로 작성하고, 논문의 분량은 본 학회지의 규격으로 30쪽 내외를 원칙으로 한다. 외국어 논문은 5,000 단어 내외로 한다.

7. 모든 논문의 앞에는 영문초록을, 뒤에는 국문초록을 첨부해야 한다. 초록의 길이는 10-20행으로 한다. 영문초록 상단에서 저자 성(Family Name)의 알파벳은 모두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 KIM)

8. 영문 원고와 영문초록은 반드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의 교정을 받은 후 제출한다.

9. 주요어(Key words)는 5~10개를 명기한다.

10. 원고 기고자가 복수일 경우에 제1저자와 공동저자를 구분하여 표기한다.

11. 원고는 책임편집이사에게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홈페이지 원고투고란을 통해 제출한다. 

(국문투고: www.soeliot.or.kr / 해외투고: www.teliots.com 이용)

12. 접수된 논문은 반환하지 않으며, 심사를 거쳐 게재된 논문의 판권은 학회에 귀속된다.

13. 논문 게재료는 편당 20쪽을 기준으로 전임 교수 회원은 200,000원, 비전임 교수 회원은 100,000원, 연구비 수혜 논문은 300,000원으로 한다. 20쪽을 초과하는 경우, 쪽당 10,000원을 추가한다.


■ 세부 유의사항

1. 따옴표(single & double quotation marks) 한글 자판의 ‘ ’ 혹은 “ ” 로 통일함. 영문 자판의 ' ' 혹은 " " 은 사용하지 않음. 특히 원고 작성 시 한글에서 영어로 전환될 경우나, 인용문헌 및 영문 초록 작성 시 유의.

2. 따옴표와 쉼표 혹은 마침표(quotation marks & comma or period) 끝 따옴표 (end quotation marks) 이전에 쉼표 혹은 마침표를 찍음 (,’ ,” .’ .”) 인용문의 출처를 밝히는 경우에는 ”( ).

3. 콜론과 세미콜론(colon & semi-colon) 영문인 경우에는 원문 그대로 쓰나, 번역할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음. 문맥에 따라 마침표나 쉼표로 처리함.

4. 본문 내에서의 인용문, 본문과 분리된 긴 인용문(in-text citation, block quotation) 본문 내에서의 인용문은 따옴표 표기 이후 출처를 밝힌 후에 마침표를 찍음 “ ”( ). 본문과 분리된 긴 인용문은 따옴표 없이 입력한 후 마침표를 먼저 찍고 출처를 밝힘 .( )

5. 말줄임표(ellipsis marks) 한 문장이 끝난 이후에는 마침표(.) 이후 한 칸씩 뛰어서 마침 표를 세번 . . . 입력: 전체적으로 보면 . . . . 문장 중간에 일부를 줄일 경우 앞과 뒤를 한 칸씩 띄어서 마침표를 각각 띄어서 세 번 찍음 . . . 시 인용문에서 행 전체를 줄일 경우, 위의 표기를 사용하되 앞 혹은 뒤 행의 길이만큼 표기

6.하이픈과 대시(hyphen & dash) 단어를 연결할 경우에는 하이픈 - (자판 우측 상단)을 사용함. 보충 설명을 할 경우에는 대시를 사용함. 한글 문서 “입력”→ “문자표”에 있는 제일 긴 “ ― ” 사용. 대시( ― )를 사용할 경우 앞과 뒤를 띄우지 않음.

7. 시의 행 혹은 연 (line or stanza) 인용문이 아닌 저자의 본문에 시의 일부를 인용할 경우 행 구분은 / 로 표기하고 연 구분은 // 로 표기. / 혹은 // 의 앞은 붙이고 뒤는 한 칸을 띄우는 것을 원칙으로 함.

8. 인용문 출처 표기(in-text citation) 문장에서 이미 출처를 지시하는 인명이나 서적명이 있는 경우 에는 괄호 속에 쪽수만을 표기. 인용문이 원본의 2쪽 이상에 걸쳐있는 경우, 10단위는 00-00 으로, 100단위는 000-00으로 표기. 단, 100 단위의 숫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000-000으로 표기. 이는 “인용문헌”의 경우 에도 동일함. )



 



저작권 양도동의서


한국 T. S. 엘리엇학회 학회 귀하


제1조 저작물의 표시

국문 제목 : T. S. 엘리엇연구

영문 제목 : journal of the T. S.Eliot Society of Korea


제2조 저작재산권의 양도

① 저자는 본 논문에 대한 저작재산권 전부를 한국 T. S. 엘리엇학회에게 양도한다.


제3조 저작재산권을 양도한 후의 저자의 권리 행사

① 저자는 본 논문의 내용으로 특허권 출원, 실용신안권출원, 디자인권 설정등록, 상표 설정등록을 할 수 있다. 저자는 이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논문을 상품화하기 위하여 논문에 대한 권리를 영리단체에 양도할 수 없다.

② 저자는 교육 또는 개인의 연구 등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논문의 전부 또는일부를 복제하고 배포할 수 있다.

③ 저자는 논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본인의 개인 웹사이트, 저자가 소속된 기관 및 단체의 웹사이트, 연구비를 지원한 단체의웹사이트에 게재하고 배포할 수 있다.


제4조 보증 및 책임

① 본 동의서에 서명함으로써 저자는 다음 사항에 보증한 것으로 본다.

ⅰ) 저자는 본 논문에 실질적이고 지적인 공헌을 하였으며 논문의 내용에 대하여 공적인 책임을공유한다.

ⅱ) 논문이 기존에 다른 곳에 공표되지 않았으며 본 학술지에만 제출한 것이다.

ⅲ) 논문 내용에 타인을 비방하거나 불법적 문장이 없으며, 타인의권리를 침해하거나,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ⅳ) 만약 저작권이 있는 타인의 논문에서 발췌된 내용이 포함된 경우, '갑'은 그 권리자에게 허락을 받거나 적법한 인용의 범위내에서 출처를 표시하고 이용한다.

② 본 저작물의 내용이 제3자의 권리를 침해하여 학회 또는 제3자에대하여 손해를 끼친 경우에는 저자가 그 책임을 진다.



제1저자 : OOO 일자 : OOOO/OO/OO 서명 :

제2저자 : OOO 일자 : OOOO/OO/OO 서명 :

제3저자 : OOO 일자 : OOOO/OO/OO 서명 :

제4저자 : OOO 일자 : OOOO/OO/OO 서명 :